오피니언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부동산칼럼]작은 돈과 작은 부동산의 반란
 
윤정웅 부동산 칼럼리스트   기사입력  2019/01/28 [11:21]

전세제도는 세계적으로 우리나라에만 있는 제도다. 옛날에는 주로 도시에서 방을 빌려주고 월세를 받았었는데 집주인의 입장에서 1년분 이자가 나올 목돈을 받으면 그 목돈에 여윳돈을 보태 또 부동산을 살 수 있었으므로 결국 그 목돈이 전세보증금으로 변환 것이다.

 

임차인의 입장에서도 다달이 월세를 내는 것 보다 목돈을 주었다가 집을 비어줄 때 다시 받아 나오면 공짜로 사는 셈이 되어 누이 좋고 매부 좋은 거래가 될 것이기에 보증금이 있는 사람은 전세로 살고, 없는 사람은 월세로 살게 되었다. 이게 1950년대 6.25사변 후에 등장한 전. 월세제도다.

 

1960년 초 민법 개정 때 전세제도를 빼느냐, 넣느냐? 의논이 분분했다. 결과는 민법에 넣기로 했다. 당시 농촌사람들이 도시로 몰리는 처지에 있었으므로 서민들의 주거안정을 위해 민법의 물권편에 넣고, 보증금의 보호는 근저당권설정과 같은 효력을 부여하게 되었다.

 

서민들의 주거안정을 위해 민법에 규정한 전세권이 부동산투자의 단초가 될 줄은 아무도 몰랐다. 집주인들은 보증금을 받아 또 집을 사고, 또 보증금을 받아 집을 사는 집 투자를 했다. 이런 투자를 부채질 한 것은 매년 또는 3-5년 사이에 집값이 약 30%씩 올라 주었기 때문이다.

 

전세제도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부터 극성을 부리기 시작했고, 2008년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보증금 액수가 집값의 80%에 육박했다. 3억짜리 집은 전세보증금이 2억4000만 원정도 되었기에 5000만 원만 있으면 집을 살 수 있었다. 그게 재건축이나 재개발에 들어가면 팔자 고치게 됐고~

 

심지어는 자기 집을 전세 놓고, 전세로 살면서 그 보증금으로 또 집을 사는 사람들이 부지기수다. 이름 하여 이를 ‘갭투자’라 칭했는데 우리나라 주택시장은 갭투자로 인해 질서가 문란해졌고, 사는 집 한 채 소유가 아닌 ‘사재기’ 또는 ‘사 모으기’식 투자가 돼버린 것이다.

특히 시장이나 장관, 국회의원 후보자들은 집값을 들었다 놨다 했다. 5천만 원 내지 1억의 여윳돈으로 전세 안고 집을 살 사람들은 재개발. 재건축에 귀가 쫑긋해 있으므로 작년처럼 여의도 개발문제가 거론되면 집값은 날개를 달았고, 모든 주택시장을 용광로로 만들었다.

 

보통사람들은 어찌하던 집을 여러 채 사두면 좋을 줄 안다. 그러나 그건 잘못된 생각이다. 열 채씩 백 채씩 가지고 있는 사람들 실제 상담해보면 자기 돈은 몇 억 또는 몇 십억이고, 대부분이 전세보증금이나 대출이다. 매달 이자를 몇 천만 원씩 내는 사람도 있다.

 

한 채를 가지고 있더라도 영양가가 있어야지 백 채 가지고 있으며 빚 속에서 산다면 무슨 실익이 있겠는가? 농사를 모르는 사람들은 논에 물이 가닥 차 있어야 벼가 잘 자라는 줄 안다. 가끔은 논바닥을 말려야 벼가 튼튼하게 자라고, 수확이 많게 된다. 인생살이도 같은 것이다.

 

잠시 빌려 쓰는 세상, 사는 집 한 채면 족하고, 욕심이 생기고 여유가 있으면 땅뙈기 하나 사놓으면 될 일이지, 집하고 무슨 원수졌다고 여러 채를 갖는단 말인가? 예로부터 이르기를 ‘계()’가 천이면 빚이 천 냥이라고 했다. 빚 천 냥 짊어지고 다리 오그리고 살다가 죽어봐라. 저승에 가서도 다리 오그리고 살 것이다.

 

우리들 삶의 그릇에도 물을 채워야 할 때가 있고, 비워야 할 때가 있다. 지금처럼 주택시장에 매물이 잠길 때는 물을 비울 때다. 오늘은 무엇을 채우고 무엇을 비워야 할 것인가. 그걸 잘 판단하는 게 지혜로운 삶이다. 집값은 쉽게 오르지 않을 것이니 값이 더 내리기 전에 어서 비우자.

 

사람의 마음에는 저마다 저울이 있는데 가끔 욕심이라는 존재가 눈금을 가려 사리분별을 못할 때가 있다. 특히 돈과 사랑과 출세에는 눈금이 없다. 작은 돈 들어오면 작은 부동산 사놓게 되고, 그걸 되풀이 하게 되면 재미가 나서 열 채, 백 채, 늘어나서 서민들이 살아야 할 집 다 가져가버렸다.

 

사람의 욕심과 작은 돈, 그리고 작은 집, 이 3박자가 지금 우리나라 주택시장을 꽉 묶어버렸다. 그런 투자자들에게 정부에서는 임대사업자라고 해서 혜택을 주고 있다. 4월 초에 아파트 공시가격이 오르면 이제 매년 집 한 채씩 팔아야 보유세 낼 수 있다. 피 같은 돈 세금으로 내면 애국자이긴 하겠지만,

 

강남 집값이 그동안 열탕이었지만, 지금은 냉탕에서 떨고 있다. 잠실동 어느 아파트 전용 85㎡짜리는 4년 전에 8억 5000만 원이었다. 그러던 집이 지난해 18억 5000만 원까지 올랐다. 지금은 16억에 내놨는데 아예 흥정조차도 들어오지 않는다. 중개업소에서는 14억에 내놔보라 하는데 그렇게라도 해야 할지 난감한 노릇이다.

 

혹자들은 기다리노라면 서울 집값은 다시 오를 수 있다고 스스로 위로해보지만, 앞으로 공급량도 무시할 수 없으려니와 이제 작은 돈으로 작은 집 사는 투자는 틀렸다는 심리가 팽배하여 상당기간 값이 내리거나 약보합을 유지하다. 3-5년 후 다시 값이 오르는 시세게임을 연출할 것이다.

 

그렇다면 지금은 어느 종목에 투자해야 할까? 필자가 늘 말씀드린 바는 토지다. 토지는 커도 좋고, 작아도 좋다. 다만 전세를 놓을 수 없는 게 문제다. 작으면 작은 대로 크면 큰 대로 투자하되 5년 이상 10년쯤 보고 투자하자. 토지투자의 확실한 지팡이는 다음에 있는 부동산카페 ‘21세기부동산힐링캠프’다.

 

그리고 시장을 읽으려면 공부를 해야 한다. 돈과 공부, 건강이 노후를 지키는 3박자 아니던가? 수원대학교 평생교육원 부동산학과 봄학기 학생모집마감이 임박했다. 당신이 가방 메고 학교에 다니면 공부해서 좋고, 운동해서 좋고, 부동산으로 돈까지 벌어 일거삼득(一擧三得)이 될 것이다.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19/01/28 [11:21]   ⓒ 전국아파트신문
 
이 기사에 대한 독자의견 의견쓰기 전체의견보기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 용
관련기사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