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식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무병장수·부귀영화의 뜻이 담긴 ‘조랭이떡국’
 
전국아파트신문   기사입력  2019/01/28 [11:16]
지식백과

설날 먹는 음식이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우리나라 사람 누구나 ‘떡국’이라고 자신 있게 대답할 것이다. 예로부터 각 가정에서는 새해 아침 일찍 조상님께 차례(茶禮)를 올리는데 ‘떡국이 없으면 설 차례는 무효’라는 말도 있다. 

따라서 설날에는 메(밥) 대신 떡국을 올리고, 가족이 함께 나눠 먹었으며 집안에 방문한 손님께도 떡국으로 대접하였다. 또한 ‘설날에는 떡국을 안 먹어도 배부르지 않은 나이를 공짜로 더 먹는다’는 말도 있다.

떡국은 ‘재산이 쭉쭉 늘어나라’는 축복의 의미를 담고 있으며, 가래떡을 둥글게 써는 것은 둥근 모양이 마치 옛날 화폐인 엽전의 모양과 같아서 새해에는 재화가 풍족하기를 바라는 소망이 담겨 있으며, 둥근 모양이 태양을 의미한다고도 하였다. 이와 같이 일 년 열두 달을 탈 없이 보내고 무병장수와 부귀영화, 부활신생, 순수무구한 경건의 염원을 흰 가래떡에 담아 음식으로 표현한 떡국은 18세기 말부터 유래했다고 한다. 

떡국은 전국적으로 설날에 만들어 먹는 음식이지만 집집마다 떡국 맛이 다르고, 지방에 따라 모양이나 만드는 방법 등이 다소 다르다.

조랭이떡국은 개성지방의 향토음식으로 정초의 뜻을 기리기 위하여 흰떡을 길게 늘여 참기름을 바르면서 나무칼로 썰어 만든 떡으로 가운데 허리가 잘록한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조랭이떡국은 생김새가 독특하고 크기가 앙증맞아 먹는 사람들의 눈과 입을 즐겁게 해 주는 음식이다. 이렇듯 각 지방마다 다양한 떡국을 끓여 먹었지만 음식에 깃든 감사의 마음과 정성은 한가지일 것이다. 특히 눈사람 모양 같기도 하고 흰 구슬을 붙여 놓은 것 같기도 한 잘록한 모양의 조랭이떡국은 여러 가지 재미있는 이야기가 전해 내려온다.

첫 번째 이야기로는 옛날에는 한 해 동안 나쁜 액을 막아 주기를 바라는 기원의 의미로 어린아이들의 옷끈에 나무조롱을 달아 주었는데, 조랭이떡이 나무조롱을 닮아 새해 첫날 일 년의 나쁜 액을 모두 막아 주기를 기원하는 의미에서 조랭이떡국을 먹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두 번째 이야기로는 조랭이떡 모양이 누에고치 모양을 본떠서 만든 것으로 누에는 정월의 길()함을 표시하여 새해를 더욱 경축하고 장수를 기원하는 마음으로 만들어 먹었다는 설이 있다.

세 번째 이야기로는 개성은 원래 고려의 수도로 조선이 고려를 멸망시키고 정권을 장악하여 고려 충신들이 떼죽음을 당하자 고려인들이 칼을 가는 심정으로 가래떡 끝을 하나씩 비틀어 잘라 내면서 이성계에 대한 울분을 풀었다고 한다.

네 번째 이야기는 예부터 상술에 능했던 개성사람들이 엽전꾸러미처럼 생긴 조랭이떡국을 먹으면서 새해에도 집안에 재물이 넘쳐나기를 기원했다고 한다. 

이처럼 조랭이떡국은 쇠고기나 사골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만든 담백한 육수에 그 모양에서도 알 수 있듯이 만드는 과정에서 정성이 많이 들어가는 조랭이떡을 넣어 만든 음식으로, 떡국 한 그릇에도 먹는 사람의 건강과 복을 기원하는 조상들의 마음을 느낄 수 있다.

 

RECIPE
재료 멥쌀가루 400g, 쇠고기(양지머리) 100g, 달걀 2개, 간장 2작은술, 소금 1작은술


1 멥쌀가루를 소금을 넣은 끓는 물로 반죽하여 흰떡을 만들어 비빈 후 도토리알만 한 크기로 잘라 누에고치 모양으로 만든다.
2 쇠고기는 찬물을 부어 푹 무르게 삶아 건진다. 건진 고기를 작은 편으로 썰어 국에 넣은 뒤 간장과 소금으로 간을 맞춘다.
3 김쇠고기 국물이 끓을 때 떡을 넣고 달걀을 푼 다음 떡이 떠오르면 낸다.
4 식성에 따라 후춧가루를 쳐 먹는다.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19/01/28 [11:16]   ⓒ 전국아파트신문
 
이 기사에 대한 독자의견 의견쓰기 전체의견보기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 용
관련기사목록